전체보기 (378) 썸네일형 리스트형 댓글이나 게시판관리를 잘못하면 애드센스 적용하기 힘들어 내가 소유하고 있는 블로그나 사이트에 애드센스를 운영하게 될 때 참 난감한 부분이 직접 작성하지 않은 게시판이나 댓글등을 통해서 작성된 컨텐츠들에 대한 관리일 것입니다. 24시간 모니터링 할수도 없으며 필터링등의 시스템을 갖추더라도 성인컨텐츠나 욕설 비속어등 다양한 형태의 정책위반성 컨텐츠들이 등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수많은 회원들이 다양한 글을 올려 활성화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지만 애드센스 운용시는 매우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국내 대표커뮤니티중 하나인 루리웹 게시판 따라서 이러한 방문자 또는 회원에 의한 컨텐츠 관리에 대한 부분을 초기 부터 잘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커뮤니티 나 사이트등은 방문자 나 회원들이 지속적으로 컨텐츠를 생성해 내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속 성장이 가.. 어떠한 광고 노출형태가 클릭유도 인가? 기본적으로 CPC로 애드센스가 운영되기 때문에 클릭이 발생해야 수익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애드센스를 운영하는 사이트 나 블로그들을 최적화 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보다 많은 클릭이 발생하도록 광고배치에 신경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배치 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수익율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클릭유도"는 정책적으로 위반사항이 됩니다. 따라서 제재대상이 되며 클릭유도 사례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상기 이미지의 점선으로 된 적색박스의 광고가 애드센스 광고이며 사용자가 스크롤할 때 마다 광고가 따라서 내려온다면 ? 이것은 클릭유도로 들어가게 됩니다. 사용자가 광고에 시선을 가게 되어 클릭을 유도하는 행위로 보는 것입니다. 또 다른 클릭유도 사례는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의 이미지를 확인해.. 부정클릭과 무효클릭의 차이는?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부정클릭과 무효클릭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엄밀하게 2개의 개념은 서로 다른 개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무효클릭 보다는 부정클릭이 더 안좋은 개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무효클릭과 부정클릭에 대한 구분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무효클릭?무효클릭은 수익금액에 정산되지 않는 클릭 즉 실수로 인한 클릭으로 보실수 있습니다. 무효클릭에 의해서 합산된 금액은 일정시간이후 무효클릭임이 확인되면 수입금액에서 차감정산되게 됩니다. 무효클릭이 발생하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가 있을까요? 광고를 클릭하는 방문자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연달아 2번 광고를 눌렀다면 두번째 광고는 무효클릭이 됩니다. 이외에 터치스크린등에서 스크롤를 하는 도중에 잘못 광고를 클릭하고 바로 화면창을 닫는다면.. 성인용 컨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범위는? 애드센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성인용 컨텐츠가 제한된다는 점은 이미 여러 포스트에서 설명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범위 수준이 성인컨텐츠에 들어가고 또 들어가지 않을까요?단어 보다는 전체적인 내용이 판단기준일단 광범위한 성인 컨텐츠라는 범주가 단순히 성적인 표현이 들어간 몇개 단어로 인하여 성인용 컨텐츠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즉 전체적인 글의 문맥등을 구글정책팀에서 확인하여 성인컨텐츠로 판단하고 또 성인컨텐츠로 판단된다면 제재조치를 하는 것입니다. 또 야한 이미지나 사진등이 없는 텍스트로만 구성된 경우라도 내용이 성인용 컨텐츠로 판단된다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1~2장 이나 몇개의 단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내용이 중요합니다. 다만 이미지의 경우 보다 직접적인 노출이 되므로 가급적이면 성적.. 정책위반에 대한 조치! 어떻게 이뤄질까? 알고 있으면서 정책을 위반한 경우 또는 잘 모르고 정책을 위반하여 발생한 정책위반에 대해서 어떠한 조치가 이뤄질까요? 정책위반 사례가 발생하게 되면 애드센스 정책팀에서는 등록시 기재한 이메일주소 또는 애드센스 쪽지함 등으로 위반 관련 안내 메일을 보내게 됩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상세 설명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개별적으로 정책위반 상황을 점검해 본 후 관련 상세내용이 파악이 안될 경우는 다시 확인 이메일을 보낼 필요가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정책위반 경고메일을 받았을 경우는 빠르게 대응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애드센스 관련 이메일을 받는 즉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애드센스 정책 위반의 조치 - 웹사이트 레벨웹사이트 수준이라는 것은 애드센스 계정에 등록된 광고게재 사이트중 사이트레.. 애드센스 필수 크롬 확장프로그램 구글 퍼블리셔 툴바 애드센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웹브라우저는 크롬(Chrome) 브라우저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여러면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크롬 확장프로그램이 있는데 바로 Google publisher toolbar (구글 퍼블리셔 툴바)입니다. 애드센스를 점검하고 체크하는 편리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하겠습니다.구글 퍼블리셔 툴바의 설치 방법은?먼저 크롬(Chrome) 브라우저를 설치한 이후에 검색창 우측 끝단의 "크롬 맞춤 설정 및 제어" (세개의 선모양 아이콘)버튼을 눌러 설정화면에 들어갑니다. 설정화면으로 들어가게 되면 좌측 메뉴중에서 확장프로그램이 보일 것입니다. (좌측 적색박스) 이 메뉴를 선택한 이후에 좌측 상단의 검색창에 Google .. CTR,RPM등의 정보공개는 약관 7조로 인해 정책위반 애드센스를 운영하게 되면 다양한 광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또 수익이 발생하다 보면 관련 정보등을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싶거나 공개하고 싶은 욕구도 있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전체 수익금액에 대한 공개는 가능하지만 세부사항들에 대한 공개는 약관 7조에 의거하여 정책위반이 됩니다. 이점을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기밀유지 계약에 의해서 공개해서는 안될 정보를 공개하는 것도 정책위반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구체적인 항목으로 CTR 과 RPM에 대해서는 공개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상기 이미지에서 반전된 표시부분을 보시면 관련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다만 수익금액의 총액에 대해서는 공개해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이부분은 공개를 하셔도 무방합니다. 과도한 정보 공개로 인하여 정책.. 애드센스도움말과 모바일단위 배너광고 설정방법 애드센스 도움말 섹션을 보면 모바일 검색용 애드센스에 대한 도움말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즉 화면이 큰 일반 PC사이트가 아닌 스마트폰 이나 일부 태블릿등에서 사용될 모바일용 광고를 설정할수 있는 애드센스 배너에 대한 것입니다. 일반 PC용 애드센스 배너를 모바일에서 보여지게 할 경우 정책위반(컨텐츠대신 광고로 화면이 가득채워지는 경우) 이 될 가능성이 높으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전용 페이지가 있다거나 반응형 웹일 경우는 모바일 페이지 전용 애드센스 배너를 사용해야 합니다.애드센스 도움말에서는 구버전 기준으로 설명애드센스의 모바일용 애드센스 설명을 보면 이전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고 있어 내용이 일부 맞지 않습니다. 상기 이미지는 모바일용 애드센스 광고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 애드센스 도움..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