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389)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스닥100 초과수익 기대할 때 : 타임폴리오 미국나스닥 100액티브 ETF 명에 "액티브"가 표시되어 있다면 지수를 추종하지만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지수 이상의 수익을 목표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와 반대되는 적극적 투자 개념이 되겠습니다. 펀드매니저가 잘하면 지수 이상의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잘 못하면 지수 추종보다 못한 수익을 낼수도 있습니다. 타임폴리오 미국나스닥 100 액티브는 나스닥 100 종목을 기반으로 펀드매니저의 능력에 투자하는 ETF 라고 하겠습니다. 상위 TOP 10 종목을 보면 나스닥 100 시가 총액 1위인 NVIDIA가 1개월전 8위 , 금일 기준 3위 인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지수추종 패시브 인 경우는 금일 기준 투자 비중이 NVIDIA , 마이크로소프트 , 애플 등의 순서로 되어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vs MV 반도체 지수 비교해 보기 미국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고 자 ETF를 고르실 때 반드시 확인해보셔야 하는 것이 해당 ETF가 추종하는 지수 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MV 반도체 지수가 있는데 내용을 확인하셔야 내가 원하는 반도체 종목에 보다 집중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구분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PHLX Semiconductor Sector Index: SOX)MV 반도체 지수 (MVIS US Listed Semiconductor 25 Index: MVSMHTR)지수 목표반도체 설계, 유통, 제조, 판매를 주업종으로 하는 기업의 성과 측정미국 상장된 반도체 산업 관련 기업 중 가장 크고 유동성이 높은 25개 종목의 성과 측정종목 수30개 (시가총액 기준)25개 (유동성 및 시가총액 기준)지수 유형수정 ..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의 최대 가능한 DRAM 생산 수량은? NVIDIA 등 주요 AI GPU의 메모리로 HBM이 사용되면서 반도체 메모리 제조사인 삼성전자 , SK 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매출/이익이 급등하고 주가도 급 상승 중입니다. 단기간 내 생산 시설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전망도 좋습니다. 특히 HBM의 경우는 DRAM을 적층하여 만드는 개념이고 기술 난이도가 있어 수율도 떨어지고 DRAM 대비 3배의 웨이퍼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제품 생산이 고부가가치 HBM으로 몰리면서 일부 DRAM 생산 라인을 전환했는데 이번에는 DRAM 수요가 급증 하고 있으면서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이 되면서 DRAM 가격이 폭등 중입니다. 반도체 주요 3사 의 월별 웨이퍼 생산량(월간 투입기준 , 추정치)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전자 : 약 650,000장 , .. 이더리움 & 비트마인 :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은? 1. 목적 및 설계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서 가치를 저장하고 검열에 저항하는 P2P 전자 현금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은 조건부 지불과 같은 단순한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수준으로 제한적입니다.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상에서 코드를 실행하는 분산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즉 **'세계 컴퓨터'**를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더리움의 핵심 기능입니다.2. 프로그래밍 능력 (튜링 완전성)비트코인의 스크립트 언어는 **'튜링 불완전(Turing Incomplete)'**합니다. 이는 무한 루프를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트랜잭션 예측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복잡한 계산이나 범용적인 프로그램 실행이 불가능합니다.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Solidity 등)는.. 데이터센터 투자 - Kodex 미국AI 전력 핵심인프라 AI 가 핫한 가운데 AI 솔루션의 HW 핵심은 데이터 센터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AI GPU 서버는 엄청난 전력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 센터 건설과 함께 대규모 전력 공급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특히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에는 기존 노후 전력망으로는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전력 인프라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나온 ETF가 Kodex 미국 AI 전력핵심인프라 입니다. 미국내 전력망 관련 기업들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개념입니다. 이미 상장이후 엄청난 상승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면 너무 늦은 것 아니야? 혹은 너무 고점 투자일까? 이러한 의문점이 들 것입니다. 하지만 전력망 구축은 몇개월 만에 단기로 만들어지.. 아마존, X-energy 와 협력하여 최대 12기 SMR 건설해 아마존이 X-energy 와 협력하여 12기의 SMR을 건설한다고 합니다. SMR은 소형 모듈형 원자로로 기존 원자로 대비 크기가 작고 모듈화 되어 있어 빠른 건설과 비용 절감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 플랫폼입니다. X-energy 사의 최신 SMR 제품인 Xe-100 을 기반으로 아마존 그리고 에너지 노스웨스트가 협력하여 1단계에서 4기의 SMR을 개발한다고 합니다. 초기 320MW 이며 최대 12기까지 확장하여 960MW를 확보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고 합니다 2030년 부터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2039년까지 5GW 신규 원자력 전력망 구축을 위한 X-energy 투자계획의 일환이라고 합니다. AI GPU 기반의 최신 데이터센터들은 엄청난 전력량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소액 실물 금 투자 직접 사는 것 보다는 IAUM ETF 로 투자 최근 안전자산으로 금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실물 금 투자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금 가격이 너무 올라 실물금을 직접 사는 것은 매우 부담 스러워진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 ETF명 (티커)운용사운용 수수료 (연간)주요 특징SPDR Gold Shares (GLD)State Street Global Advisors0.40%세계 최대규모로 유동성이 풍부하여 거래편의성 좋음iShares Gold Trust (IAU)BlackRock0.25%GLD 와 IAUM 의 중간포지션iShares Gold Trust Micro (IAUM)BlackRock0.09%가장 낮은 수수료 , 소액 장기투자에 유리 그런 경우는 금 실물을 추종하는 ETF를 사시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금괴를 매입하여 직접 금고에 보관하여.. 연금 안전 자산 30% 추천 : ACE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연금에서 안전 자산 30%를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의무조항이 있습니다. 최대한 주식 비중을 높게 담고 싶은신 분들이 특히 이부분에 대해서 고민이 많으실 것입니다.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ETF가 바로 ACE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입니다. 원래 이 종목은 ACE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액티브 였는데 종목명이 9월 30일 기준으로 위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종목명에 "50"이 추가 된 것입니다. 채권은 안전자산에 속하고 채권을 일정 부분이상 담고 있는 ETF도 안전자산으로 분류가 됩니다. 즉 기존에는 미국 나스닥 100에 30% , 미국 단기채 70%를 담고 있는 종목이였습니다. 미국 단기채는 실적으로 현금과 동일한 느낌으로 보시면 됩니다. 만약 중장기채인 미국 10년물 ,.. 이전 1 2 3 4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