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 의 워크스테이션 GPU 시리즈에 RTX PRO 6000 블랙웰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전 세대 와 다르게 새로운 6000 블랙웰 시리즈는 동일칩 단일 모델이 아니라 쿨링 구조 및 약간의 성능차이로 구분지으며 3가지 버전을 내놓고 있습니다.
RTX PRO 6000 블랙웰
- 서버 에디션
- 워크스테이션 에디션 - 액티브팬 , 높은 전력량 요구하며 표준 성능 , 타워 케이스 기준 최대 2장
- Max-Q 워크스테이션 에디션 - 블로우팬 , 저전력 설계 대신 성능 일부 하향 , 타워 케이스 기준 최대 4장(?)
이렇게 구분됩니다. 워크스테이션은 별도의 서버실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경우 사용하는 타워형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서버에디션 이라는 버전이 나온 것입니다.
기존의 워크스테이션 전용(타워 케이스 장착용)의 개념 보다 상위인 서버(데이터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버전을 내놓은 것입니다. 서버에디션은 자체적으로 발열을 식혀줄 쿨링팬이 아예 없습니다.

따라서 장착되는 서버의 케이스 쿨링팬을 통해서 발열을 식혀주는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즉 서버에디션이 장착되는 서버 플랫폼의 발열 제어 설계가 RTX PRO 6000 블랙웰 서버에디션 GPU를 장착 상황을 고려한 설계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이러한 데이터센터 용 GPU를 "DC 용 제품군" 으로 별도 분류하여 운용했는데 NVIDIA의 이 제품 라인에 이전에는 워크스테이션 라인업에만 속하던 RTX PRO 6000 블랙웰를 DC용 제품군으로 격상 시킨 것입니다.
이것은 점점 MSRP가 상승하고 있는 순수 데이터센터 용 GPU의 하위라인업을 별도로 개발하지 않고 워크스테이션 GPU의 최상위 라인 제품을 포함시키는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데이터 센터용 하위 라인업을 공백으로 두지 않고 워크스테이션 GPU 상단을 끌어올려서 전체적으로 엔터프라이즈 GPU 제품군의 ASP를 자연스럽게 올리는 개념이라고 하겠습니다.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증시 데이마켓 거래 2025년 11월 4일 부터 재개 (0) | 2025.11.03 |
|---|---|
| 나스닥100 초과수익 기대할 때 : 타임폴리오 미국나스닥 100액티브 (0) | 2025.10.30 |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vs MV 반도체 지수 비교해 보기 (0) | 2025.10.28 |
|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의 최대 가능한 DRAM 생산 수량은? (0) | 2025.10.27 |
| 이더리움 & 비트마인 :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은? (0) | 202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