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명에 "액티브"가 표시되어 있다면 지수를 추종하지만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지수 이상의 수익을 목표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와 반대되는 적극적 투자 개념이 되겠습니다.
펀드매니저가 잘하면 지수 이상의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잘 못하면 지수 추종보다 못한 수익을 낼수도 있습니다.
타임폴리오 미국나스닥 100 액티브는 나스닥 100 종목을 기반으로 펀드매니저의 능력에 투자하는 ETF 라고 하겠습니다.

상위 TOP 10 종목을 보면 나스닥 100 시가 총액 1위인 NVIDIA가 1개월전 8위 , 금일 기준 3위 인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지수추종 패시브 인 경우는 금일 기준 투자 비중이 NVIDIA , 마이크로소프트 , 애플 등의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액티브 펀드는 펀드매니저의 인위적인 개입이 있기 때문에 수수료도 패시브 펀드보다 비싸고 타임폴리오 미국나스닥 100 액티브 ETF의 경우는 총 보수 0.8%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다만 지수 추종 패시브 펀드보다 초과수익을 더 많이 낸다면 높은 수수료의 가치를 충분히 할것입니다.

과거 1년간 패시브 펀드와의 수익율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황색이 나스닥 100 패시브 펀드인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입니다.
상반기는 패시브 펀드 수익율에 밀려있었지만 4월 관세 충격 이후 회복 강세 시점에서는 나스닥 100 패시브 보다 초과수익을 계속내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장 상황과 펀드매니저의 능력에 따라서 수익율 차이가 꽤 크게 발생합니다. 지수 추종 패시브 ETF 보다 초과 수익을 목표로 하고 높은 운용 수수료와 추가 리스크를 감내 하실수 있다면 추천드릴수 있는 ETF 라고 하겠습니다.
나스닥 100 패시브와 나스닥 100 액티브를 일정기간 함께 운용하시면서 수익율 게임에서 충분한 성과를 내는지 비교해본 후 비중을 조절해 보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vs MV 반도체 지수 비교해 보기 (0) | 2025.10.28 | 
|---|---|
|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의 최대 가능한 DRAM 생산 수량은? (0) | 2025.10.27 | 
| 이더리움 & 비트마인 :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은? (0) | 2025.10.23 | 
| 데이터센터 투자 - Kodex 미국AI 전력 핵심인프라 (0) | 2025.10.21 | 
| 아마존, X-energy 와 협력하여 최대 12기 SMR 건설해 (0) | 2025.10.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