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령액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급여명세서에서 마이너스 되는 항목은? 실수령액 계산 연봉 3600만원 입니다! 라고 했을때 3600만원 나누기 12 해서 300만원을 매월 받는 다고 알고 계신분들은? 아마도 직장생활을 한번도 안해본 분들 일 것입니다. 실수령액은 매달 공제되는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예를들면 국민연금,의료보험등이죠. 그러면 어떤항목이 있을 까요? 국민연금 : 본인 4.5% + 회사 4.5% 부담해서 입금 (본인은 4.5% 공제)고용보험 : 0.65% 공제건강보험 : 6.24% 공제 ( 본인과 회사가 50%씩 부담)장기요양 : 건강보험료 납부액의 7.38%소득세 : 소득기준 따라서 차별 납부 (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조회가능)주민세 : 소득세 납부액의 10% 이상이 확정금액이고 노동조합비(있을 경우) , 결근공제 (결근했을 경우) , 경조사비(직원 경.. 2015년 나의 연봉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회사다니는 거의 유일한 낙이 아마도 연봉이 아닐까 합니다. ㅎㅎㅎ 뭐 승진도 연봉오르니까 하는 거고 좋은실적 내려고 아둥바둥하는것도 다 ~~~ 연봉 올릴려고 하는것 아닐까요? 2015년도에 나의 연봉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요? 복잡하게 소득세얼마 국민연금 얼마 등등 세부 공제내용 없이 깔끔하게 연봉-공제액 = 실수령액 방식으로 정리된 표를 소개해드립니다. 1500만원부터 5000만원까지 연봉과 실수령액입니다. 나는 5000만원이 넘는데 왜 없나요?.... 그런분들은 그냥 알아서 하세요.... ㅠㅠ순서대로 회사에서 이야기하는 연봉 - 월급여액 - 실수령액 - 공제액계 입니다. 나 연봉 5천만원이야 하시는분들 실수령액은 360만원정도라는 사실~~~ 5천연봉이여도 4인가족을 혼자 부양한다면 빠듯하겠죠~ 게다가 주.. 이전 1 다음